주식 세금 수수료 얼마나 내야할까? 주식 투자를 처음 시작하신 분들은 주식을 사고 팔 때 세금과 수수료에 대해서 처음부터 염두를 하게 되는데요.
정확히는 세금과 수수료가 별개로 존재하며 납부해야 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그럼 어떤 순간에 어떤 조건으로 납부하게 될까요? 쉽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 세금 수수료 기준은?
먼저 아셔야 하는 부분은 우리는 주식 거래를 증권사를 통해서 매수 매도를 진행하게 되는데요. 정확히는 증권사가 한국거래소를 통해서 거래를 하게 되며, 한국예탁결제원에서 결제 된 주식을 보관하게 됩니다.
우리가 내는 수수료는 바로 우리가 사용하는 증권사와 한국거래소, 한국예탁결제원 이 3곳에 수수료를 내는 것입니다.
조금 더 쉽게 생각 풀어보자면 수수료는 증권사 및 유관기관에 거래 발생 시에 납부하는 수수료이고, 세금은 국가에 납부하는 거라고 보시면 더 이해가 쉬울 수 있습니다.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주식 수수료 기준
삼성증권 비대면 계좌 개설 평생 혜택 이벤트 바로가기 |
주식 수수료는 매수를 하든 매도를 하든 매매를 할 때 마다 수수료가 발생을 하게 됩니다.
- 위탁수수료(수수료는 증권사 마다 상이) : 거래시 증권사에 납부하는 수수료 (증권사는 모바일로 편하게 한국거래소에서 주식을 사고 팔게 해주죠?)
- 유관기관 수수료(거래대금의 0.004%) : 거래 시 한국거래소와 한국예탁결제원에 납부 하는 수수료
이 두 가지가 합쳐져서 주식 거래 수수료가 됩니다.
이중에 몇몇 분들은 비대면 계좌 개설 이벤트 등 수수료 무료라고 해서 가입한 분들도 계실텐데요. 무료라고 해서 가입 했는데 막상 계산을 해보면 크던 작던 거래 시 수수료가 발생하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는 위탁 수수료는 무료, 또는 이벤트가 적용되었다고 해도, 유관기관 수수료, 즉 한국거래소와 한국예탁결제원에는 수수료를 납부해야 되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우리가 주식 세금 수수료 절약을 할 수 있는 건 실질적으로 위탁 수수료 뿐인 것입니다.
주의하실 점 하나는 위탁수수료는 거래 방식에 따라서도 수수료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처음 증권사 약관에 가입할 때 나와 있는 내용이지만, 사실 다 읽어보고 가입하는 사람은 굉장히 드물겠죠?
대부분 HTS(PC), MTS(모바일)의 차이는 없는 경우가 많지만, 드물게 전화로 주문 하는 경우 수수료가 가장 비싸다고 보시면 됩니다. 전화 받고 주문하는 직원의 인건비가 들어가기 때문이지요.
때문에 수수료를 절약 하기 위해서는 증권사 비대면 계좌 개설 이벤트 평생 혜택을 이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삼성증권 계좌 개설 평생 혜택 이벤트 페이지에 접속하셔서 조건들을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2. 주식 세금 기준
그럼 세금은 어떤 기준으로 납부를 하게 될까요? 주식 거래 시에 발생하는 세금은 주식을 매도하거나, 수익이 발생했을 경우에만 납부를 하게 됩니다.
- 증권거래세 : 매도할 때 0.23% (코스피 코스닥 모두 동일, 코스피가 좀 더 싸지만 농어촌 특별세가 붙어 코스닥이랑 동일함.)
- 배당소득세 : 배당을 받게 될 때 내는 세금 15.4%(배당소득세 14% + 지방세 1.4%)
- 양도소득세 : 대주주 요건에 해당하거나, 10억 이상의 주식(종목당)보유 할 경우 주식을 매도 할 때 22%의 양도 소득세를 수익 금에서 납부를 하게 됩니다.
- 금융투자 소득세 : 2025년부터 시행될 예정인 금융투자 소득세는 모든 금융소득을 합산하여 2,000만원 이상 소득이 발생하였을 경우 구간 별 세급을 납부하게 됩니다.
조금 더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배당 소득세의 경우 배당을 받을 경우에만 받음 금액에 비례하여 세금을 납부 하시면 됩니다.
가장 중요시 하게 봐야 할 것이 금융투자 소득세인데, 국내 주식, 해외 주식, 은행 이자, 배당, 채권, 펀드, 파생 상품 등 모든 금융 수익이 2,000만원을 넘을 경우 구간 별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2,000만원은 기본 공제이며, 2,000만원 초과 3억원 이하 일 경우에는 20%, 3억원 초과부터는 25%의 세금을 금융투자 소득세로 납부를 해야 합니다.
단, 연간 소득액과 손실액을 합쳐 순이익 금액에만 세금을 매기게 되며, 손실 이월 공제도 3년간 허용 됩니다.
단, 2025년부터 시행 예정이므로, 아직은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며, 또 세금을 납부 하더라도 그만큼 수익이 많이 났다는 반증이기 때문에 미리 걱정하지는 마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주식 세금 수수료 납부 금액 및 조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보통 일반적인 거래를 할 경우에는 수수료는 크게 개의치 않으셔도 됩니다.
세금도 수익이 날 경우에 그만큼 납부하는 금액이 올라가는 것이구요. 다만, 드물게 거래 횟수가 많을 경우 수수료로 나가는 돈이 많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때문에 단타를 좋아하시거나, 거래 횟수가 많다고 느껴질 경우에는 증권사 수수료 이벤트 등을 활용하셔서 절감하시는 방법이 좋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