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알바 주휴수당 지급조건 및 계산 방법 알아보기



주말알바 주휴수당 지급조건 및 계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평일에 시간을 낼 수 없는 분들은 주말에 몰아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문제는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몰라서 받지 못하는 경우가 꽤 많다는 겁니다. 알바를 하는 곳의 사장들도 몰라서 주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에 꼼꼼히 확인 하셔서 정당한 수당을 놓치지 않아야 합니다.


주말알바 주휴수당 지급조건

주휴수당이란 1주일을 기준으로 15시간 이상 상시 근로를 하였을 경우 하루의 유급 휴가 및 그에 해당하는 수당을 말합니다. 많은 분들이 평일에 근무를 하는 정규직만 해당하는 줄 알고 계시는데요.

  • 정규직
  • 비정규직
  • 계약직
  • 알바 (아르바이트)
  • 주말 파트타임

등 모든 근무 형태가 주휴수당 지급 대상에 해당됩니다. 5인 이하의 근무자가 일하는 소규모 영업장도 지급 의무가 있으니 꼭 잘 알아가시기 바랍니다.

주말알바 주휴수당

주말알바 주휴수당을 받기 위해선 몇 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조건은 1주일 기준 15시간 이상 근무 (대타, 추가 근무로 인한 시간은 해당 되지 않음) 입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주말알바 주휴수당 근무 시간

주말 알바(토, 일 이틀)를 하는데, 애초에 토요일 8시간, 일요일 8시간을 근무하기로 했다면, 1주일 기준 16시간 고정 근무를 하는 경우입니다.

위 경우에는 주휴수당 지급 기준인 1주일 15시간을 초과 하므로 지급 대상에 해당 됩니다.

또 다른 예시는 토요일 7시간, 일요일 7시간 주말 총 14시간의 고정 근무를 한다면, 아쉽게도 주휴수당 지급 대상에서 제외 됩니다. 앞서 말한 것처럼 1주일 기준 15시간 이상 근무를 해야 되기 때문입니다.

총 14시간의 고정 근무에서 땜빵을 하거나, 대타, 추가 근무로 시간을 늘려도 주휴수당 지급 조건 대상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내가 일하기로 한 고정 근무 타임이 중요합니다.

주말알바 주휴수당 계산 방법

주휴수당 계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간편하게 주휴수당 계산기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는데요. 그래도 기본적인 계산 방법은 알고 가시는 게 좋습니다.

40시간 미만 근로자 주휴수당 계산 식

1주일 총 고정 근무시간 ÷ 40시간 x 8 x 시급 = 주휴수당 금액

주휴수당 계산기

위 계산 방법을 통해 주휴수당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위 계산과 아래 링크를 통해 주휴수당 계산기로 테스트를 해보신 후 금액을 맞춰 보시면 조금 더 정확한 계산이 가능합니다.

주휴수당 계산기

주휴수당 미지급 대처 방법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 조건임에도 고용주가 임의로 지급을 하지 않거나 미룰 경우 고용노동부에 신고를 하실 수 있습니다. 만약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고 근무했을 경우 급여를 입금 받은 내역으로도 충분히 역으로 계산하여 추적할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은 퇴직 시 14일 이내 지급을 원칙으로 하는 만큼 그 기간을 넘어도 지급을 받지 못했다면, 망설이지 마시고 고용노동부를 통해 사장과 대화를 하시는 게 속 편하다고 보시기 바랍니다.

주말알바 주휴수당

※ 임금체불 징계를 받을 경우 최대 2년 이하의 징역,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주말알바 주휴수당은 조건에 충족된다면 당연히 받을 수 있는 정당한 권리로써 확실히 인식하시기 바랍니다. 많은 분들이 평일 종일 알바는 정규 직원처럼 보는 인식이 강한데 비해, 주말 알바는 단기, 비정규 직원처럼 보는 경향이 큽니다.

이런 인식 때문에 사장도 잘 모르는 경우가 있지만, 몰라서 안 주는 경우는 충분히 대화로 풀어보시기 바랍니다. 단, 줘야 되는데 일부러 안주는 경우에는 노동청에 바로 신고 하시기 바랍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들

☞ 청년도전지원사업 신청 대상 및 지원금 한번에 알아보기

☞ 결혼식 축의금 기준 명확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헬스장 환불 제대로 받는 방법 이벤트가의 진실

☞ M자 탈모 초기 증상 및 관리방법 알아보기

☞ 탈모약 부작용 처방 받은 약은 괜찮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