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계약 중도해지 대처법 현실적인 해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세 계약으로 임차를 한 후 거주하는 경우 대체로 2년을 계약 기간으로 설정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사람이 살다 보면 의도치 않게 거주지를 옮겨야 하는 여러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요. 이런 상황에서 가장 현실적으로 도움이 되는 방법을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전세 계약 중도해지 대처법
아직 계약 기간이 남아 있는데 전세 계약 중도해지가 필요한 경우에는 우선 집주인에게 알리는 것이 먼저 입니다. 현실적으로 집주인에게 알리지 않고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고 보셔야 합니다.
가장 먼저 집주인에게 알린 후 적정 협의를 우선 보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이 3 가지가 있습니다.
- 집주인과 싸우지 말고 최대한 좋게 협의할 것
- 현재 전세지만, 신규 임차인에게 주인이 월세로 임차를 줄 여건이 되는지 확인할 것
- 주위 부동산에 전세, 월세 수요, 구하는 사람이 많은지 확인 해볼 것
1. 집주인과 좋게 협의할 것
먼저 집주인과 좋게 합의를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임대인도 사람이기 때문에 사정을 얘기하고 최대한 협조를 이끌어 내야 합니다.
현재 우리는 계약 기간 중 중도 해지 동의 + 전세금 까지 최대한 빠르게 받아야 하기 때문에 임차인과 절대 감정적으로 싸우거나, 추가적인 분쟁을 만들지 않아야 하는데요.
집 주인에게 다른 임차인을 구한 후 나가겠다는, 계약 중도해지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단, 기본적으로 위약금을 배상해야 될 의무는 없습니다. 파손 후 복구를 해야 되는 부분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중도해지 동의를 받았다면, 우선 1단계는 완료 되었습니다.
2. 월세로 변경 임차 가능 확인
직방 부동산 전세 방 내놓기 | 다방 부동산 전세 방 내놓기 |
사실 이 부분은 금액이 높은 전세의 경우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습니다만, 전세금이 낮은 경우 협의에 따라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이제 새로 임차인을 구해야 되는 상황에서 전세로만 가능한지, 월세도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인데요.
월세도 가능하다고 할 경우, 전세, 월세 두가지 형식으로 부동산에 등록할 수 있기 때문에 방이 더 빨리 빠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앞서 말씀 드린 것처럼 전세금이 높을 경우에는 신규 임차인에게 전세금을 받아서 나에게 줄 것이기에 쉽지 않습니다.
전세 보증금이 낮거나, 애매할 경우에는 협의에 따라 집주인이 전세, 월세 모두 수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집주인에게 계약 중도해지 동의를 받은 후 최대한 협조를 이끌어 내며 확인 해보시기 바랍니다.
3. 방 내놓기
직방 부동산 전세 방 내놓기 | 다방 부동산 전세 방 내놓기 |
이제 방을 내놓을 차례 입니다. 여기서 관건은 누군가 집을 보러 왔을 때 최대한 좋은 이미지로 보여서 빨리 계약을 하게 하는 것입니다. 그럼 크게 3가지가 필요하게 됩니다.
- 최대한 많은 부동산(인터넷, 카페 등)에 방 내놓기
- 집 보러 오는 부동산 중매인과, 예비 임차인에게 최대한 협조하기
- 집 최대한 깨끗하게 해 놓기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방이 최대한 빨리 나가는 것입니다. 가급적 집에 없을 때에도 부동산 업자랑 방 보는 사람들이 볼 수 있게 환경을 조성 하는 것도 좋습니다.
대신 보면 안되는 것, 귀금속, 중요품 등은 미리 대비를 하셔야겠죠?
참고로 중개 수수료는 기존 계약대로 기간을 이행했다면, 당연히 집주인이 알아서 해야 될 문제지만 관례상 이 상황에서는 중도 해지한 쪽이 내게 됩니다.
거주하는 동네의 평균 전세 시세, 매물 등을 확인하는 것도 좋고, 부동산 위치를 최대한 많이 검색해서 등록하는 것도 무척 중요합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네이버 부동산 링크로 바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거주하는 동네의 전세 매물, 부동산 위치, 연락처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전세 계약 중도해지를 위해서는 최대한 빨리 집주인에게 알리고, 최대한 빨리 새로운 임차인을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사를 가야 되거나, 전세를 해지 해야 될 상황이 생겼을 때 발로 알리시기 바랍니다. 가급적 문자나 카톡으로 보내어 중도해지 동의한 사실을 기록으로 남기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추가로 새로운 임차인이 와서 계약서를 반환하라고 할 수 있는데요. 계약서를 반환 하더라도 복사해서 사본을 하나 챙기신 후 반납하는 게 좋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