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내가 받을 금액을 알아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연금은 정부가 주체가 되어 운영하는 공적 연금 제도인데요.
소득이 있을 때 납부를 하고 추후 나이가 들거나, 사고 및 질병 등으로 더 이상 경제 활동을 할 수 없을 때 본인 또는 유족에게 지급함으로써 기본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해주는 제도 입니다.
내가 평소에 납부한 금액이 얼마인지 나중에 연금 수령을 개시하게 되면 매월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한 분이 많으실텐데요. 간단하고 쉽게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 | 국민연금관리공단 홈페이지 |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을 조회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국민연금 홈페이지에서 조회하는 방법과 금융감독원 주관 통합연금포털 사이트에서 확인하는 방법들인데요.
통합연금포털 조회방법
- 통합연금포털 및 국민연금 관리공단 홈페이지 접속 후 로그인
- 내 연금 조회
- 3일 뒤 금액 확인 가능
※ 연금수령액 조회를 하게 되면 신청 일 기준으로 금액이 계산되어 영업일 기준 3일 후에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3일 후에 조회를 하게 되면, 현재 납부한 금액, 납부한 횟수, 만기시 납부 예상 금액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이 주관하는 통합연금포털에서는 국민연금 수령액 조회가 가능하며, 이 외에도 퇴직연금, 개인연금, 공무원연금 등 내가 가입해 놓고 잊고 있던 연금들도 조회가 가능하니 한번씩 확인 해보시기 바랍니다.
국민연금 수령을 위한 조건
국민 연금을 받기 위해서는 10년 이상 (납입 120회) 이상의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만약 가입 기간이 10년이 되지 않는다면, 납입한 금액 x 이자를 계산하여 일시 수령으로 받게 됩니다.
중요한 점은 일시불로 받게 되면 연금으로 수령할 수는 없다는 점인데요. 만약 국민연금을 받고 싶은데, 가입 기간을 충족하지 못할 것 같다면 다른 방법을 써야 합니다.
바로 임의 가입, 추후납입 제도를 이용하는 방법인데요. 아래에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국민연금 임의 가입, 추가 납입 제도
- 추납(추후 납입): 추납은 국민연금을 가입한 후 현재시점에서 납부하지 못한 횟수 만큼 일시불로 납입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나는 국민연금을 받고 싶은데 납입 횟수를 충족하지 못했다면, 연금 개시 연령이 되기 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국민연금 조기수령 신청 방법
국민연금 조기수령은 간단히 말해 연금을 빨리 받고 싶은 사람이 어느 정도 손해를 감수하고 연금 개시를 앞당기는 것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 외에도 조기수령을 위한 조건이 몇 가지가 있는데요. 정리해 보겠습니다.
- 소득이 없을 것
- 최소 만 55세 이상
- 국민연금 납부 횟수 120회 이상
연금 조기 개시를 위해서는 위 3가지 조건을 필수로 충족해야 합니다. 그리고 앞서 언급 드린 것처럼 조기 수령을 신청할 때 내 나이를 기준으로 정상 연금 금액에서 지급율이 달라지게 됩니다.
청구당시 나이 | 58세 | 59세 | 60세 | 61세 | 62세 |
지급률 | 70% | 76% | 82% | 88% | 94% |
쉽게 말해서 내가 58세에 국민연금을 빨리 받고 싶다고 신청을 하게 되면 “빨리 받는 만큼 더 많은 횟수를 받게 될 테니 매월 받기로 했던 연금에서 70%만 받으세요” 라는 걸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신청방법 : 국민연금 조기수령 신청을 위해서는 신분증을 지참 하여 가까운 국민연금 관리공단 지점으로 방문 하신 후 신청하시면 됩니다.
국민연금관리공단에서 운영하는 두루누리 홈페이지 지사찾기 서비스를 통해 가장 가까운 지점을 찾으시면 됩니다.
국민연금은 노후를 대비하는 기본 준비 연금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처 확인하지 못하고 적은 금액이라도 매월 받을 수 있겠지 생각하시다가 조건을 충족하지 못해 일시 수령으로 끝나시는 분들이 워낙 많으시더라구요.
지금이라도 내 연금 납부 금액, 횟수, 예상 수령 금액 조회로 노후를 잘 준비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