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식 축의금 기준에 대해서 명확하게 정리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누군가의 결혼식에 초대 받고 또 참여를 한다는 것은 축복할 일이지만 액수는 현실적인 부분이라 생각해야 됩니다.
최근 물가가 오르면서 예식장의 식권 가격 또한 무시무시하게 오르고 있고, 결혼식을 올리는데 비용 또한 만만치 않기 때문에 애매한 축의금은 감사 인사도 받지 못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결혼식 축의금 기준
축의금 액수를 정하는 기준은 결혼식 당사자와의 관계 + 식권 가격(또는 식사 여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결혼식에 초대 받아 참석을 했지만, 1인당 식권 가격이 4만원이고, 나는 애인과 함께 참석을 했다는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이 경우에 관계 여부를 떠나 최소 10만원 이상의 축의금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만약 혼자 갔다면? 친함 정도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5만원 이상만 내면 괜찮습니다. 중요한 점은 내가 축하를 하러 가서 축의금도 냈지만, 손해를 끼치게 되면 안된다는 점이지요.

하지만, 일반적으로 우리가 일부러 검색을 해보지 않는 이상 해당 예식장의 뷔페 가격을 알 수는 없는 법입니다. 때문에, 염두는 하되 지나치게 식사 금액에 집착하지는 않으셔도 됩니다.
1. 친하지 않은 친구, 회사 다른 팀 동료는 5만원
예전에는 기본 3만 원부터 시작 했지만, 최근에는 물가가 상승한 만큼 기본 5만원에서 시작합니다. 친분이 있어 최소한의 성의는 해야겠는데 결혼식 가기는 애매한 사이일 경우가 주로 해당되는데요.
1인 기준 참석하셔서 식사를 해도 될 금액입니다. 단, 혼자 참석하기 불편할 경우 모바일 청첩장을 통해 입금 후 축하 방명록을 남겨주는 것도 방법입니다.
2. 가까운 친구, 회사 팀 동료는 10만원
친한 친구는 10만원을 기준으로 잡으시면 됩니다. 단, 소득 활동 전(취직 전, 또는 대학생 등)이라면 5만원만 하셔도 무방합니다. 그 사람들도 다 이해합니다.
회사 같은 팀 동료도 기본 10만원을 하시면 되지만, 도움 받은 일이 많거나 회사 내 다른 팀이어도 협력 받을 업무가 많다면, 좀 더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싶은 경우 신경 쓰는 의미에서 15 ~ 20 정도로 하셔도 좋습니다.
3. 매우 친한 친구, 가까운 친인척은 20만원
카톡도 수시로 할 정도의 친한 친구는 20만원 기준을 잡고 친함 정도, 축하를 하고 싶은 마음을 더해 주시면 됩니다. 사실 정말 친한 친구는 이미 자기들 끼리 액수를 정해 놓은 경우도 많지요.
가까운 친인척도 보통은 10만 원이면 충분 하지만, 4촌 이내 이면서 집안과 사이가 좋고 왕래가 많은 경우엔 20만원으로 시작하시면 됩니다. 단, 아직 학생일 경우에는 반드시 부모님과 상의 후 축의금을 내지 않거나, 금액을 조정 하시기 바랍니다.
자칫 부모님 보다 더 많은 금액을 친척에게 축의금으로 내게 되면 부모님 입장이 난처해질 수 있습니다. 만약 더 하고 싶지만, 부모님 보다 금액을 더 주기 눈치가 보이는 상황이라면, 축의금 외 별도로 축하금을 챙겨 주시는 것도 좋습니다.

4. 가족은 돈이 아닌 결혼 선물
가족이라고 해서 축의금을 주면 결례가 되는 행동은 절대 아닙니다. 다만, 일반적으로 결혼식 주관 자체가 가족들이 하기 때문에 축의금을 내기 보다는 함께 결혼이라는 집안 행사를 치른 후 선물을 하는 경우가 많은 것입니다.
혼수 물품, 청소기, 공기 청정기 등 필요하지만, 좋은 것을 사야 되는 가전 제품이 있다면 미리 의논 후 겹치지 않게 선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어보고 사주는 게 제일 속 편한 것은 사실 입니다.
결혼식 축의금 기준은 보통 이렇다는 얘기이지 법적으로 정해져 있는 기준이 아닙니다. 다만 누군가의 결혼식에 내가 참석하는 것이 그 사람에게 금액적으로 마이너스가 되면 안되겠지요.
극단적으로 축의금은 5만원 하면서 4인 가족이 가서 식사까지 하고 오면 그 사람에게 연을 끊자는 의미로 비춰질 수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들